두뇌 유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두뇌 유출은 숙련된 인력, 특히 고도로 훈련된 개인의 이동 현상을 의미하며, 조직적, 지리적, 산업적 유출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이는 기회 부족, 정치적 불안정, 경제 불황 등 '내몰림 요인'과 풍부한 기회, 정치적 안정, 더 나은 생활 조건 등 '끌어들이는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개인적 선호도, 경력 야망, 가족의 영향도 영향을 미친다. 두뇌 유출은 국가의 재정적 손실과 우수 인력 손실을 초래하며, 인적 자원 손실, 공공 서비스 질 저하, 경제 성장 둔화, 사회적 불균형 심화 등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반면, 송금, 기술 이전, 귀국을 통한 창업 등 긍정적인 측면도 존재한다. 각 국가 및 지역은 두뇌 유출에 상이한 영향을 받으며, 이에 대한 대응 방안 또한 경제 성장, 일자리 창출, 교육 시스템 개선, 국제 협력 강화 등 다양한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두뇌 유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다른 이름 | 인적 자본 유출, 고급 인력 유출, 인재 유출 |
로마자 표기 | duno yuchul |
설명 | 한 국가나 지역에서 교육 수준이 높고 숙련된 인력이 다른 지역으로 이주하는 현상 |
원인 | |
경제적 요인 | 낮은 임금 부족한 직업 기회 열악한 근무 환경 |
사회적 요인 | 정치적 불안정 사회적 불평등 낮은 삶의 질 |
개인적 요인 | 더 나은 교육 기회 추구 더 나은 경력 개발 기회 추구 개인적 자유와 안전 추구 |
기타 | 의료 서비스 부족 연구 자금 부족 |
영향 | |
개발도상국 | 숙련된 인력 부족 심화 경제 성장 저해 사회 서비스 질 저하 연구 및 개발 능력 저하 혁신 저해 의료 서비스 접근성 악화 교육 시스템 약화 기업 운영에 어려움 발생 |
선진국 | 숙련된 인력 확보 경제 성장 촉진 혁신 및 기술 발전 가속화 인구 고령화 문제 해결에 기여 |
이주민 본인 | 더 나은 임금 및 생활 수준 새로운 문화 및 경험 습득 경력 개발 기회 확장 더 나은 교육 기회 획득 개인적 성장 및 발전 |
가족 | 송금으로 인한 경제적 이익 가족의 해외 진출 기회 증가 |
관련 개념 | |
두뇌 유입 | brain gain |
두뇌 순환 | brain circulation |
두뇌 교환 | brain exchange |
숙련된 이민 | skilled migration |
역 두뇌 유출 | reverse brain drain |
관련 정책 및 연구 | |
정책 | 인재 유지 정책 인재 유입 정책 해외 인재 유치 정책 교육 투자 확대 연구 개발 투자 확대 해외 동포 유치 정책 |
연구 | 인적 자본 유출 원인 연구 인적 자본 유출 영향 연구 인적 자본 유출 해결 방안 연구 |
사례 | |
의료계 | 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으로 의료 인력 유출 심각한 의료 인력 부족 야기 의료 서비스 질 저하 출처: 의료 인력 두뇌 유출 |
교육계 | 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으로 교육 인력 유출 교육 시스템 약화 교육 기회 불균등 심화 |
IT 업계 | 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으로 IT 인력 유출 정보 기술 발전 저해 산업 경쟁력 약화 |
추가 정보 | |
이민 네트워크 | 이민 네트워크가 무역 적자를 악화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 존재 |
이민자 출신 지역 | 이민 전망이 비 이민자들의 교육 및 노동 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 존재 |
두뇌 유출과 제도적 이득 | 두뇌 유출이 제도적 이득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 존재 |
이민과 민주주의 | 이민이 민주주의 확산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 존재 |
이민과 부패 | 이민이 부패 감소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 존재 |
이민과 정치 | 이민이 국내 정치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 존재 |
2. 유형
인적 자본 유출에는 여러 유형이 있다.
- 조직적 유출: 기업의 리더십 문제로 인해 직원들이 이탈하는 현상이다.
- 지리적 유출: 고도로 훈련받은 개인들이 거주 지역을 떠나는 현상이다.
- 산업적 유출: 숙련된 노동자들이 한 산업 부문에서 다른 부문으로 이동하는 현상이다.
이러한 인구 이동은 사회 환경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 '출발' 국가에서는 기회 부족, 정치적 불안정, 경제 불황 등이, '목적지' 국가에서는 풍부한 기회, 정치적 안정, 발전된 경제 등이 인재 유출 및 유입에 영향을 미친다.[24] 개인적인 차원에서는 가족, 개인적 선호도, 경력 등도 고려 요인이다.
"두뇌 유출"이라는 용어는 영국 왕립학회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유럽에서 북아메리카로 이주하는 과학자와 기술자들을 묘사하기 위해 만들어졌다.[25] 다른 자료에 따르면 영국에서 인도 과학자와 기술자들의 유입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었다고도 한다.[26] 이 용어는 원래 기술 노동자들의 국가 간 이동을 의미했지만, 이후 교육받거나 전문적인 사람들이 더 나은 조건을 찾아 다른 국가, 경제 부문, 분야로 떠나는 것을 포괄하는 의미로 확대되었다.[27]
두뇌 유출은 남은 인구에 비해 교육 수준이 높은 사람들의 이민을 의미한다.[28]
"두뇌 유출"이라는 용어는 숙련된 인력의 이민이 원산국에 해롭다는 의미를 내포하는 경우가 많아, 일부 학자들은 더 중립적인 용어 사용을 권장한다.[29][30]
2. 1. 조직적 유출
기업의 방향과 리더십이 퇴보적이거나 불안정하거나 정체되어, 직원들이 개인적 및 직업적 야망을 충족시킬 수 없다고 인식할 때 발생하는 현상으로, 재능 있고 창의적이며 고도로 숙련된 직원들이 대기업에서 이탈하는 것을 의미한다.[24]2. 2. 지리적 유출
고도로 훈련받은 개인과 대학 졸업생들이 거주 지역을 떠나는 현상이다.[24] 다른 인구 이동과 마찬가지로 사회 환경은 종종 이러한 인구 이동의 주요 원인으로 간주된다. '출발' 국가에서는 기회 부족, 정치적 불안정 또는 억압, 경제 불황, 건강 위험 등(''내몰림 요인'')이 인적 자본 유출에 기여하는 반면, '목적지' 국가는 일반적으로 풍부한 기회, 정치적 안정과 자유, 발전된 경제 및 더 나은 생활 조건(''끌어들이는 요인'')을 제공하여 인재를 유치한다.[24] 개인적인 차원에서는 가족의 영향(예: 해외에 거주하는 친척)뿐만 아니라 개인적인 선호도, 경력 야망 및 기타 동기 부여 요인을 고려할 수 있다.유럽에서는 고도 기술자의 서유럽에서 미국으로의 이동과, EU 출범과 회원국 확장 이후 숙련 노동자의 동유럽, 남동유럽에서 서유럽으로의 이동이 특히 두드러진다. EU 전체로 보면 고도 기술자는 유출 초과이며, 미국의 그린 카드와 유사하게 고도 기술자의 EU 내 노동·거주를 인정하는 블루 카드 정책을 도입하여 향후 20년 동안 다른 지역에서 2천만 명을 유치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편, 청년층의 높은 실업률 문제가 심각해지는 가운데, EU 역외에서의 단순 노동자의 이주 규제는 강화되는 경향이 있다.
문화 산업은 할리우드를 중심으로 미국으로의 유출이 현저하며, 과거 번영을 자랑했던 유럽 영화는 쇠퇴하고 있다.
2. 3. 산업적 유출
산업적 유출은 특정 산업의 침체, 경쟁 심화 등으로 인해 숙련된 노동자들이 다른 산업으로 이동하는 현상이다.[24]3. 원인
오늘날 두뇌 유출은 전시와는 달리 피난이 아닌, 더 나은 생활 환경을 찾아 떠나는 현상을 말한다. 대한민국의 경우, 미국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과학기술 인재들이 미국에 남아 활동하는 비율이 높다.[274]
'두뇌 유출'이라는 용어는 영국 왕립학회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럽에서 북아메리카로 이주하는 과학자와 기술자들을 묘사하기 위해 만들어졌다.[25] 다른 자료에 따르면 이 용어는 처음에는 영국에서 인도 과학자와 기술자들의 유입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었다.[26] 이 용어는 원래 기술 노동자들이 한 국가를 떠나는 것을 의미했지만, "교육받거나 전문적인 사람들이 더 나은 급여나 생활 조건을 위해 한 국가, 경제 부문 또는 분야에서 다른 곳으로 떠나는 것"으로 의미가 확대되었다.[27]
두뇌 유출은 남은 인구에 비해 교육 수준이 높은(수리력, 읽고 쓰는 능력이 있는) 사람들이 이민을 가는 현상이다.[28] '두뇌 유출'이라는 용어는 숙련된 인력의 이민이 원산국에 해롭다는 의미를 내포하는 경우가 많아, 일부 학자들은 이 용어 대신 더 중립적인 용어를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29][30]
능력 있는 인재는 국가 발전에 중요하며, 세계적인 과학자와 기술자가 많은 국가는 그렇지 않은 국가보다 더 발전한다. 고등 교육을 받은 이민자와 유학생이 본국으로 돌아오도록 하는 정책을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국가와 지역에 따라 사정이 다르기 때문에, 모든 경우에 적용 가능한 특효약은 존재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아프리카 국가들은 의사 등의 인적 자원 유출로 인해 의료 제도가 심각한 영향을 받고 있으며, 의료 관계자가 선진국으로 이주하는 것을 규제하려 하고 있다. 인구가 많은 중국과 인도는 매년 많은 인재가 유출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유학 진흥 등 낙관적인 정책을 보이고 있다.
3. 1. 개인적 요인
오늘날 두뇌 유출은 개인이나 단체가 더 나은 생활 환경을 찾아 떠나는 것을 의미한다. 더 높은 임금, 더 나은 근무 조건, 개인적인 성장 기회, 가족의 영향 등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 대한민국의 경우, 미국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과학 기술 인재들이 미국에 계속 남아 활동하는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274]3. 2. 사회적 요인
오늘날 두뇌 유출은 개인이나 단체가 더 나은 생활 환경을 찾아 떠나는 것을 의미한다. 여러 사회적 요인이 두뇌 유출을 유발하거나, 반대로 인재를 유인하기도 한다.출발 국가의 요인:
- 경제 불황: 경제적으로 어려운 상황은 인재들이 더 나은 기회를 찾아 떠나게 만든다.[274]
- 정치적 불안: 정치적으로 불안정한 국가는 인재 유출을 가속화한다.[20][80][81][71][82][83][84][85][86]
- 사회적 불평등: 사회적 불평등이 심한 국가는 기회 부족으로 인해 인재들이 떠나는 경향이 있다.
- 낮은 삶의 질: 삶의 질이 낮은 국가는 인재 유출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도착 국가의 요인:
- 풍부한 기회: 경제적, 사회적으로 다양한 기회가 제공되는 국가는 인재를 유인한다.
- 정치적 안정: 정치적으로 안정된 국가는 인재들이 선호하는 환경이다.
- 경제적 번영: 경제적으로 번영하는 국가는 높은 소득과 더 나은 생활 조건을 제공하여 인재를 끌어들인다.
- 높은 삶의 질: 높은 삶의 질은 인재 유치의 중요한 요소이다.
- 개방적인 사회 분위기: 개방적이고 자유로운 사회 분위기는 다양한 배경을 가진 인재들을 유인한다.
이러한 요인들은 국가 간 인재 이동에 큰 영향을 미치며, 특히 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으로의 두뇌 유출 현상을 심화시킨다.
4. 영향
두뇌 유출은 한 국가의 인재들이 다른 나라로 이동하는 현상으로,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을 모두 가지고 있다.
경제학자 마이클 클레멘스(Michael Clemens)는 고숙련 이민 제한이 원산국의 부족을 줄인다는 것은 입증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31] 개발 경제학자 저스틴 샌디퍼(Justin Sandefur)는 "이민 제한이 개발에 기여했다는 경험적 증거를 보여주는 연구는 없다"고 말한다.[32] 암스테르담 대학교(University of Amsterdam) 사회학과 교수 하인 드 하스(Hein de Haas)는 두뇌 유출을 "신화"라고 묘사한다.[33][34] 반면 정치 철학자 아담 제임스 테이블(Adam James Tebble)은 개방적인 국경이 가난한 이민 송출국의 경제적, 제도적 발전에 도움이 된다고 주장한다.[35][36]
그러나 루뱅 가톨릭 대학교(UCLouvain)의 경제학자 프레데릭 독키에(Frederic Docquier)는 인적 자본 유출이 일부 개발도상국에는 이익이 될 수도 있지만, 대부분의 개발도상국에는 악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한다.[37] 어떤 국가가 "두뇌 획득(Brain gain)"을 경험할지, 아니면 "두뇌 유출(Brain drain)"을 경험할지는 이민의 구성, 개발 수준, 인구 규모, 언어, 지리적 위치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37]
저숙련 및 고숙련 이민이 수혜국과 이민 출발국 모두에게 이익이 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38][3][39][40] 한 연구에서는 두 유형의 국가 모두에서 복지가 증가하며, "주요 수혜국의 경우 약 5~10%, 많은 이민 송금액이 있는 국가의 경우 약 10%에 달한다"고 밝혔다.[38] 반면, 원산국에 해로운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도 존재한다.[8][12]
경제학자 마이클 클레멘스와 랜트 프릿쳇은 "저생산성 지역에서 고생산성 지역으로 사람들의 이동을 허용하는 것은 빈곤 감소를 위한 가장 효율적인 정책 도구 중 하나"라고 주장한다.[41] 예를 들어, 성공적인 2년 현지 빈곤 퇴치 프로그램은 빈곤층이 선진국에서 하루 일하는 것과 맞먹는 소득을 1년에 얻도록 돕는다.[41] 통가인들이 뉴질랜드로 이주할 수 있도록 허용한 이민 추첨 연구에서는 추첨 당첨자들이 낙선자들에 비해 소득이 263% 증가했다.[42] 2017년 미국 내 멕시코 이민 가정 연구에서는 미국 이주로 가정 소득이 5배 이상 증가했다.[43]
2024년 연구에 따르면 EU 이민자의 미국 이주는 단기적으로 EU 생산성에 악영향을 미쳤지만, 장기적으로는 생산성 파급 효과를 통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44]
일부 연구는 송금 효과가 이민 유출이 많은 국가에 남아 있는 원주민의 삶을 개선할 만큼 강력하지 않다고 지적한다.[38] 2016년 NBER 논문은 2007년-2008년 금융 위기로 인한 이탈리아의 이민이 이탈리아의 정치 변화를 감소시켰다고 시사한다.[51]
"정치 경제 저널"에 실린 2019년 연구는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 스웨덴의 미국 이민이 노동 운동을 강화하고 좌익 정치와 투표 경향을 증가시켰다고 밝혔다. 연구자들은 이민 가능성이 노동의 교섭력을 강화하고 정치 반체제 인사에게 탈출구를 제공했다고 주장한다.[71]
이민과 낮은 이주 장벽은 송출국의 인적 자본 형성과 혁신에 순이익 효과를 가져온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7][8][9][10][72][73] 이는 "두뇌 유출"이 아닌 "두뇌 유입"이 있음을 의미한다. 한 연구에 따르면 숙련 노동자의 이민은 송출국이 장기적으로 간접적인 이익을 얻도록 돕는다. 숙련 노동자들이 선진국에서 더 많은 혁신을 할 수 있고, 송출국은 이를 긍정적인 외부 효과로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74] 숙련 노동자의 이민 증가는 장기적으로 경제 성장과 복지 향상으로 이어진다.[74]
2021년 연구는 필리핀 간호사의 이주 기회가 필리핀의 인적 자본을 순증가시켜 "두뇌 유출" 논제를 반박했다.[75] 2017년 논문은 H-1B 비자 프로그램을 통한 고숙련 인도인의 미국 이주 기회가 인도 IT 부문 성장에 기여했다고 밝혔다.[39][76] 2011년 연구는 이민이 송출국의 혁신에 혼합된 영향을 미쳐 중요한 혁신의 수는 증가시키지만 평균적인 발명의 수는 감소시킨다고 밝혔다.[77] 2019년 논문은 피지 이민이 시민들의 교육 수준 향상으로 피지의 기술 자원을 순증가시켰다고 밝혔다.[78] 반면, 2019년 분석에 따르면 이탈리아 청년들의 이민은 혁신 감소로 이어졌다.[79]
능력 있는 인재는 국가 발전에 중요하며, 세계적인 과학자와 기술자가 많은 국가는 그렇지 않은 국가보다 더 발전한다. 고등 교육을 받은 이민자와 유학생이 본국으로 돌아오도록 하는 정책을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국가와 지역에 따라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모든 경우에 적용 가능한 해결책은 없다.
아프리카 국가들은 의사 등의 인적 자원 유출로 의료 제도가 심각한 영향을 받고 있어, 의료 관계자의 선진국 이주를 규제하려 하고 있다. 인구가 많은 중국과 인도는 매년 많은 인재가 유출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유학 진흥 등 낙관적인 정책을 보이고 있다.
4. 1. 긍정적 영향 (두뇌 획득)
송금은 원산국의 생활 수준을 높인다. 송금은 많은 개발도상국의 GDP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며,[45][46] 수혜 가정의 복지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47] 아이티의 경우, OECD에 거주하는 67만 명의 아이티 성인이 이민자 1인당 연간 1700USD를 본국으로 송금했는데, 이는 아이티의 1인당 GDP 670USD의 두 배가 넘는 수치이다.[32] 멕시코로의 송금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송금은 멕시코에서 공공 서비스 이용 가능성을 크게 증가시켜 일부 지역에서는 정부 지출을 초과했다.[48] 2017년 연구에 따르면 송금은 자연재해 이후 빈곤을 크게 완화할 수 있다.[49] 연구에 따르면 교육 수준이 높고 소득이 높은 이민자일수록 더 많은 송금을 한다.[50]귀환 이민 또한 이민자들이 새롭게 습득한 기술, 저축 및 자산을 가지고 돌아오기 때문에 개발도상국의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다.[52] 1990년대 초 유고슬라비아 전쟁 당시 유고슬라비아 난민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독일에서 일시 체류가 허용된 전 유고슬라비아 시민들은 데이턴 협정 이후인 1995년 본국으로 돌아왔을 때 기술, 지식 및 기술을 본국으로 가져와 생산성과 수출 실적을 향상시켰다.[53]
연구에 따르면 이민 장벽을 제거하면 세계 GDP에 엄청난 영향을 미칠 것이며, 이익 추정치는 67%에서 147.3%에 이른다.[54][55][56] 연구에 따르면 이민은 송출국과 수혜국 간의 상품 및 서비스 무역을 증가시킨다는 사실도 밝혀졌다.[57][58][59] 이민자들은 원산국으로의 외국인 직접 투자(FDI)를 크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61][62][63]
4. 2. 부정적 영향 (두뇌 유출)
인적 자원 유출, 즉 두뇌 유출은 여러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한다.인적 자원 손실:국가가 교육과 훈련에 투자한 핵심 인재들이 해외로 유출되면 국가 경쟁력이 약화될 수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KAIST 학생이나 국비 장학생과 같이 국가의 재정적 지원을 받는 우수 인력들이 해외에서 학업을 마친 후 현지에 정착하거나 심지어 국적을 바꾸는 경우가 적지 않다. 이는 국가적으로 금전적 손실뿐만 아니라 우수 인력 손실로 이어진다.[31]
경제 성장 둔화:인재 유출은 혁신 역량 감소, 생산성 저하, 투자 감소 등을 초래하여 경제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 개발도상국의 경우, 인적 자본 유출이 경제에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다.[37]
사례:
국가 | 내용 |
---|---|
스페인 | 가톨릭 왕조 재정복 이후 종교적 이유로 유대인들을 추방했다. 유대인들은 당시 금융 서비스 업계를 지배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들의 추방은 경제 쇠퇴에 영향을 미쳤다.[101][102] |
아프리카 대륙 | 고급 인력 유출로 인해 연간 40억달러의 손실을 보고 있다. 국제연합 개발 계획(UNDP)에 따르면, 에티오피아는 1980년부터 1991년 사이에 숙련 노동자의 75%를 잃었다.[31] |
인도 | 컴퓨터 기술자들의 미국 이주로 인해 매년 20억달러의 손실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31] |
중화인민공화국 | 2000년대 후반부터 미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등 서구 국가로의 이주가 증가하면서 심각한 인재 유출을 겪고 있다. 2007년에는 중국의 이민 유출 인구가 세계 최대가 되었다.[31] |
일본 | 1990년대 버블 붕괴와 한일 반도체 마찰의 영향으로 기술자들이 대한민국으로 유출되면서 반도체 산업 경쟁력을 잃었다는 평가가 있다.[263] |
5. 역사적 사례
제2차 세계 대전은 현대적 의미의 두뇌 유출이 시작된 계기가 되었다. 유럽에서는 나치즘을 피해 영국, 미국 등 안전한 지역으로 인재들이 이동했고, 동양에서는 일본의 강제 점령을 피해 한국인은 중국으로, 중국인은 서부 지역으로 이주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1767년 스페인령 아메리카에서 예수회 탄압으로 페루의 예수회 소유 포도원이 높은 가격에 경매되었지만, 새 소유주들은 전문 지식이 부족하여 생산량이 감소했다.[108] 탄압 이후 예수회가 지배했던 마테차 생산 지역의 생산과 중요성도 감소했다.[109][110] 과라니족 원주민 노동력의 과도한 착취는 산업 쇠퇴를 야기했고, 파라과이는 마테차 주요 생산국으로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그러나 예수회의 농장 시스템은 유지되었고, 마테차는 18세기와 19세기 대부분 야생에서 수확되었다.[110]
5. 1. 제2차 세계 대전 전후
2차 세계 대전은 현대적 의미의 두뇌 유출이 시작된 계기가 되었다. 유럽에서는 나치즘을 피해 과학자, 기술자들이 영국, 미국 등 안전한 지역으로 이주했다.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지그문트 프로이트, 엔리코 페르미, 닐스 보어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31]나치의 반유대주의 정책과 홀로코스트는 지식인들의 대규모 탈출을 야기했다. 특히, 독일 괴팅겐 대학교는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업적으로 대표되는 "유대인 물리학"에 대한 나치의 탄압 중심지였다. 1933년, 학자들이 추방되거나 망명하면서 프린스턴 고등연구소가 수학 및 물리학 분야의 주요 연구 기관이 되었다. 바우하우스 또한 나치 정권 하에서 폐쇄되었고, 미스 반 데어 로에, 발터 그로피우스 등은 미국으로 건너가 국제 양식을 전파했다.
이러한 고숙련 이민자들의 유입은 영국과 미국의 과학 발전을 크게 촉진했다. 나치의 지식인 숙청으로 앵글로스피어가 세계 과학계의 선두 주자가 되었다.[113] 독일 역사가 Michael Grüttner|미하엘 그뤼트너de는 나치 집권 후 독일 대학들이 교수진의 20.5%를 잃었다고 밝혔다. 이민 전후 노벨상을 수상한 사람들을 고려하면 총 24명의 노벨상 수상자가 나치의 박해 때문에 독일이나 오스트리아를 떠났다.[114]
독일 점령 지역 유럽에서 영국으로 탈출한 유대인 중에는 맥스 페루츠, 루돌프 페어럴스, 어니스트 보리스 체인 등 과학자와 니콜라우스 페브스너, 노르베르트 엘리아스, 칼 포퍼 등 지식인들이 있었다.[115]
헝가리에서도 여러 차례 이민이 있었다. 특히 2차 세계 대전 중과 이후, 시어도어 폰 카르만, 존 폰 노이만, 폴 할모스, 유진 위그너, 에드워드 텔러 등 유대계 헝가리 과학자들이 미국으로 탈출하여 원자 폭탄 개발 등 과학 발전에 기여했다. 이들은 "화성인"으로 불렸다.
2차 세계 대전 말엽과 종전 직후, 미국과 소련은 페이퍼클립 작전, 러스티 작전, 오소아비아힘 작전 등을 통해 수천 명의 전 나치 과학자들을 강제로 모집하여 각각 자국으로 이송, 과학 연구를 계속하게 했다.
5. 2. 냉전 시대
2차세계대전 이후 동구권 국가들은 엄격한 이민 통제를 시행했으나, 많은 인재들이 서방 국가로 탈출했다.[119][120][121][122] 1950년대 초, 소비에트 연방의 이민 제한 정책은 동독을 포함한 동구권 대부분 지역에서 시행되었다.[122]
1952년 독일 내부 국경이 폐쇄된 후에도, 동베를린과 서베를린 사이의 국경은 비교적 자유롭게 넘나들 수 있었다.[123][124] 이 국경은 동구권 시민들이 서방으로 이주할 수 있는 "허점"이었다.[123] 1961년까지 350만 명의 동독인들이 서방으로 이주했는데, 이는 동독 전체 인구의 약 20%에 달했다.[125] 이들은 주로 젊고 교육 수준이 높은 사람들이었기에, 동독은 심각한 인재 유출을 겪게 되었다.[121] 유리 안드로포프는 1958년 8월 28일 중앙위원회에 보낸 서한에서 동독 지식인의 탈출이 심각한 수준이라고 보고했다.[126]
동독의 인재 유출로 인한 노동력 손실 비용은 70억달러에서 90억달러로 추산되었으며, 교육 투자 손실은 가 넘는 것으로 추정된다.[125][127] 동독 지도자 발터 울브리히트는 서독이 동독에 170억달러를 보상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125] 결국 1961년 8월, 동독은 베를린 장벽을 설치하여 인재 유출을 막고자 했다.[128]
5. 3. 현대
현대적 의미의 두뇌 유출은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시작된다. 유럽에서는 나치즘을 피해 영국, 미국 등 보다 안전한 지역으로 이동하였고, 동양에서는 일본의 강제 점령을 피해 한국인은 중국으로, 중국인은 서부 지역으로 이주하는 현상이 나타났다.6. 지역별 사례
유럽은 크게 두 가지 인적 자본 유출 경향을 보인다. 첫째, 서유럽에서 미국으로 고도 기술자가 이동한다.[129] 둘째, EU 출범 이후 동유럽과 남동유럽에서 서유럽으로 숙련 노동자가 이동한다.[130] EU는 고도 기술자 유출 초과 상태이며, 미국의 영주권과 유사한 블루 카드 제도를 도입하여 향후 20년간 다른 지역에서 2천만 명을 유치하려 한다.[134] 한편, 청년층 실업률이 높아지면서 EU 역외 단순 노동자 이주는 규제하는 추세이다. 문화 산업은 할리우드 중심의 미국으로 유출이 심해, 유럽 영화는 쇠퇴하고 있다.
아프리카 대륙은 인적 자본 유출로 연간 40억달러의 손실을 보는 것으로 추산된다.[165] 국제연합 개발 계획(UNDP)에 따르면, 에티오피아는 1980년부터 1991년 사이 숙련 노동자 75%가 유출되어 빈곤 탈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나이지리아, 케냐도 심각한 영향을 받았다. 에티오피아는 우수 의사를 많이 배출하지만, 시카고에 있는 에티오피아 출신 의사가 더 많을 정도다.
인도는 컴퓨터 기술자의 미국 이주로 매년 20억달러의 손실이 발생하고, 해외 유학생으로 인해 매년 10억달러의 국제수지 적자를 겪는다.[1]
일본은 언어 장벽으로 기술 유출이 덜하지만, 도쿄 일극 집중 현상이 심하다. 1990년대 버블 붕괴와 한일 반도체 마찰로 기술자 지위가 불안정해지자, 한국 정부 주도로 기술자들이 서울로 이동하며 첨단 기술이 유출되었다.[263] 2000년대에는 고학력자들이 낮은 평가 등을 이유로 미국·유럽으로 이민하는 경우가 있었다.[264] 2014년 나카무라 슈지의 노벨상 수상과 중화인민공화국으로의 인재 유출이 잇따르면서, 일본 내 처우 악화로 인한 인재 유출 문제가 주목받았다.[266][267][268] 2021년에는 마나베 슈쿠로가 미국 국적자로 노벨상을 수상했다.[269][270][271]
6. 1. 아시아
중국은 급속한 경제 성장과 세계화로 인해 미국, 캐나다, 호주 등 서구 국가로의 이민이 급증했다.[223] 2013년 기준 세계 이민자의 4%가 중국 출신이었다.[224] 2009년 미국에서 6만 5천 명, 캐나다에서 2만 5천 명, 호주에서 1만 5천 명의 중국인이 영주권 또는 이민자 신분을 획득했다.[223] 이들은 주로 중산층 출신 전문가와 전문직 종사자들이었으며,[223] 이로 인해 중국 발전에 기여할 인재들의 '두뇌 유출' 우려가 커졌다.[224] 2007년 연구에 따르면 해외 대학에 진학한 학생 10명 중 7명은 귀국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225]6. 1. 1. 대한민국
과거 대한민국에서는 해외 유학 후 귀국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으나, 경제 성장과 함께 해외 인재 유입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1990년대 외환 위기 이후, IT, 금융 분야 인재들의 해외 유출이 심화되기도 하였다.[274] 그러나 KAIST 학생이나 국비 장학생과 같이 국가의 재정적 지원을 받은 우수 인력 중 상당수가 해외에서 학업을 마친 후 현지에 정착하거나, 심지어 국적을 바꾸는 경우도 있어 국가적으로 금전적 손실과 우수 인력 손실을 겪기도 한다.정부는 해외 우수 인재 유치를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예를 들어 Brain Korea 21, 해외 고급 과학자 초빙 사업 등이 있다. 삼성, LG 등 대기업들은 해외 인재 채용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으며, 이는 국내 기업들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
하지만 이공계 인력의 해외 유출은 여전히 존재하며, 특히 과학기술 분야 인재 유출은 국가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6. 1. 2. 인도
국제연합개발계획(UNDP)에 따르면, 인도에서는 컴퓨터 기술자들의 미국 이주로 인해 매년 20억달러의 손실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해외 유학을 가는 인도 학생들로 인해 매년 10억달러의 국제수지 적자가 발생하고 있다.[1]6. 2. 유럽
유럽의 인적 자본 유출은 두 가지 뚜렷한 경향으로 나타난다. 첫째는 서유럽에서 주로 미국으로 고급 과학자들이 유출되는 것이고,[129] 둘째는 중부 유럽과 동남유럽에서 EU 내 서유럽으로 숙련 노동자들이 이동하는 것이다.[130]일부 국가에서는 이러한 추세가 둔화되고 있지만,[131][132] 이탈리아와 같은 일부 남유럽 국가들은 여전히 매우 높은 수준의 인적 자본 유출을 경험하고 있다.[133] 유럽 연합은 고숙련 노동자의 순손실을 인지하고, 미국식 그린 카드와 유사한 "블루 카드" 정책을 도입하여 "향후 20년 동안 아시아, 아프리카 및 아메리카에서 추가로 2000만 명의 노동자를 유치하고자 한다".[134]
EU는 고령화 인구의 영향을 완화하기 위해 광범위한 이민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지만,[135] 많은 유럽 국가에서 국가주의적 민족주의 정당들이 이민 제한을 강화하는 법률을 요구하며 지지를 얻고 있다.[136] 이민자들은 국가에 대한 부담, 범죄율 증가, 중대한 문화적 차이 도입과 같은 사회 문제의 원인으로 인식된다.[137]
EU는 벤처 캐피탈 투자에서 미국과 중국에 크게 뒤처져 있으며, 미국이 52%, 중국이 40%를 차지하는 데 비해 EU는 세계 벤처 캐피탈의 5%만을 차지하고 있다. EU의 많은 대규모 기업들은 외국 주요 투자자들이 참여하고 있으며, 많은 기업들이 외국 기업에 인수되거나 외국 증권거래소에 상장된다. 이러한 경향은 인적 자본 유출과 혁신적인 기업의 EU 밖으로의 이전을 초래한다. 유망한 기업과 인재들이 해외로 이전함으로써 지역 사업 환경이 약화되고 유럽의 업계 리더를 유지하고 새로운 기술 발전을 촉진하는 능력이 저해된다.[138][139][140]
2006년, 25만 명이 넘는 유럽인들이 미국(164,285명),[141] 오스트레일리아(40,455명),[142] 캐나다(37,946명),[143] 뉴질랜드(30,262명)로 이민을 갔다.[144] 독일만 해도 15만 5,290명이 (대부분 유럽 내 국가로) 이민을 갔는데, 이는 통일 이후 가장 높은 노동자 이민율이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수준과 같았다.[145] 포르투갈은 서유럽에서 가장 큰 인적 자본 유출을 경험했는데, 자격을 갖춘 인구의 19.5%를 잃었으며,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스위스, 독일, 영국, 오스트리아로의 인적 손실을 상쇄하기 위해 충분한 숙련된 이민자를 수용하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다.[146]
중앙 유럽 및 동유럽 국가들은 솅겐 조약 체결 이후 아일랜드와 영국으로의 숙련 노동자 대량 이주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 예를 들어, 리투아니아는 2003년 이후 약 10만 명의 시민, 특히 젊고 교육 수준이 높은 사람들이 특히 아일랜드로 이민을 가면서 인구 감소를 경험했다. 유사한 현상이 폴란드가 유럽 연합에 가입한 후 발생했다. EU 가입 첫 해에 10만 명의 폴란드인이 영국에서 일하기 위해 등록하여 약 75만 명의 폴란드계 주민들과 합류했다.[149] 그러나 폴란드의 급격한 임금 상승, 호황을 누리는 경제, 즈워티의 강세, 그리고 감소하는 실업률(2006년 5월 14.2%에서 2008년 3월 8%로 감소[150])로 인해 폴란드 노동자들의 유출은 둔화되었다.[151] 2008년과 2009년 초에는 해외에서 돌아온 사람들의 수가 출국자 수를 능가했다. 그러나 인구 유출은 계속될 가능성이 높다.[152] IMF에 따르면, 고숙련 노동력의 이민은 동유럽의 성장에 악영향을 미치고 고소득 및 저소득 EU 국가 간의 1인당 소득 격차 해소를 늦추었다.[153]
동남유럽에서 고숙련 노동자들의 빠르지만 소규모인 이탈 현상은 이들 국가의 유럽 연합과의 더욱 깊은 통합 발전에 대한 우려를 불러일으켰다.[160] 이로 인해 숙련된 기술자와 과학자들이 지역에 남아 국제 프로젝트에 참여하도록 장려하여 인력 유출을 억제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이 생겨났다.[161]
세르비아는 유고슬라비아 붕괴와 그 후의 내전으로 인해 인적 자본 유출을 경험한 대표적인 국가 중 하나이다. 1991년부터 사람들은 이탈리아와 그리스로 이민을 시작했고, 그 후 영국, 캐나다, 미국 등 더 먼 곳으로 이주하기 시작했다. 지난 10년 동안, 교육받은 사람들과 전문가들이 더 나은 안정적인 삶을 위한 더 나은 기회를 얻을 수 있다고 느끼는 다른 국가들로 떠나고 있다. 이는 알바니아에게도 우려되는 문제이며, 숙련된 노동자와 전문가들을 잃고 있다.
몰도바와 우크라이나와 같은 국가에서 인적 자본 유출의 주요 원인은 경제적 기회 부족과 부패이다. 현지 및 러시아 과두 정치인들로 구성된 상류층이 전체 경제 시스템을 장악하고 있다. 젊고 교육받은 사람들은 상류층 인사와의 관계가 없다면 경제적 기회가 거의 없다. 이는 그들이 이민을 가서 다른 곳에서 기회를 찾도록 부추긴다.[162]
유럽 경제 위기로 가장 큰 타격을 입은 국가들의 많은 시민들이 오스트레일리아, 브라질, 독일, 영국, 멕시코, 칠레, 에콰도르, 앙골라, 아르헨티나와 같은 국가들로 이민을 갔다.[163][164]
6. 3. 아프리카
아프리카 여러 국가들은 더 발전된 국가로 이민을 가면서 교육받고 숙련된 인구를 엄청나게 잃었고, 이는 빈곤에서 벗어나는 능력을 저해했다. 나이지리아, 케냐, 에티오피아가 가장 큰 피해를 입은 것으로 여겨진다. 유엔개발계획에 따르면, 에티오피아는 1980년에서 1991년 사이에 숙련된 노동력의 75%를 잃었다.[165]1998년 당시 남아프리카공화국 부통령이었던 타보 음베키는 "아프리카 르네상스" 연설에서 아프리카 지식인들이 아프리카의 문제 해결과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돌아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Africarecruit''는 NEPAD와 영연방기업협의회가 해외에서 일하는 아프리카 출신 전문가들을 아프리카로 다시 모집하기 위한 공동 이니셔티브이다.[165]
2010년 세계보건기구는 의사, 간호사 등 보건 전문직 종사자의 윤리적인 국제 채용을 위한 정책 틀인 국제 보건 인력 모집에 관한 글로벌 행동 강령을 채택했다.
최근 아프리카의 빠른 성장과 발전, 중산층의 출현, 기술 발전 등으로 인해 많은 아프리카 출신 거주자가 고국으로 돌아오고 있으며, 더 많은 아프리카인이 고국에 머물러 일하게 되었다.[166]
가나의 경우, 높은 급여와 더 나은 근무 환경을 찾아 젊은 의사와 간호사들이 서구 국가로 이직하는 추세가 의료 부문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가나는 인구 6,700명당 1명의 의사가 있는 반면, 미국은 인구 430명당 1명의 의사가 있다.[167] 1993년부터 2000년까지 가나에서 교육받은 의료진의 최대 68%가 해외로 이직했으며, 1999년부터 2004년까지 448명의 의사(해당 기간에 교육받은 의사의 54%)가 해외 취업을 위해 출국했다.[168]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아파르트헤이트 종식 이후 지난 20년 동안 인적 자본 유출을 경험해왔다. 이는 지역 경제에 피해를 주고, 특히 HIV/AIDS 유행으로 의료 인프라에 의존하는 빈곤층의 복지에 해롭다고 여겨진다.[169][170]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기술 유출은 인종적 윤곽을 반영하는 경향이 있으며, 해외에 거주하는 많은 백인 남아프리카인 공동체를 초래했다.[171] 2001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캐나다에 의사 및 고도로 숙련된 의료 인력 모집 중단을 요청하기도 했다.[172]
의료 부문의 경우,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이민 온 의사 한 명당 투자 수익 손실은 14.1억달러이다. 영국은 보상 없이 27억달러의 이익을 얻었다.[173]
2008년부터 2013년까지 5년 동안 35만 9천 명의 고도로 숙련된 남아프리카 공화국인이 해외에서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 돌아왔다. 이는 2007년-2008년 금융 위기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더 높은 삶의 질에 대한 인식 때문이었다. 귀국자 중 약 37%는 전문직 종사자였다.[174]
보수적인 추산에 따르면, 인적 자본 유출로 인한 아프리카 대륙의 손실은 연간 15만 명의 고급 인력 유출로 40억달러에 달한다. 국제연합 개발 계획(UNDP)에 따르면, 에티오피아에서는 1980년부터 1991년 사이에 숙련 노동자의 75%가 유출되어 국가가 빈곤에서 벗어나기 어려워졌다. 나이지리아, 케냐, 에티오피아가 가장 심각한 영향을 받았다. 에티오피아의 경우, 많은 우수한 의사들이 배출되지만, 에티오피아에 있는 의사보다 시카고에 있는 에티오피아 출신 의사 수가 더 많다.
6. 4. 북미
캐나다에서는 1860년대부터 미국으로 인재가 유출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당시 캐나다에 도착하는 이민자들 대다수가 미국으로 향했으며, 이에 퀘벡 주 정부는 이민자들에게 무상 토지를 제공하여 캐나다에 정착시키려 노력했다.[235]1920년대에는 공학 및 과학 분야 대학 졸업생의 20% 이상이 미국으로 이민을 갔다. 이에 산업계는 1927년 기술 서비스 위원회(Technical Service Council)를 설립하여 인재 유출에 대응하고 졸업생들에게 무료 취업 알선 서비스를 제공했다. 1976년까지 위원회는 16,000명 이상을 취업시켰다. 1960년부터 1979년까지 17,000명 이상의 엔지니어와 과학자들이 미국으로 이민을 갔지만, 기술 숙련자의 유출은 1927년 졸업생의 27%에서 1967년 5% 미만으로 감소했다.
1990년대에는 소프트웨어 , 항공우주 , 의료 , 엔터테인먼트 산업을 중심으로 미국에서의 더 높은 임금과 낮은 소득세로 인해 캐나다에서 미국으로의 인재 유출이 발생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236] 엔지니어와 과학자들이 더 다양한 일자리와 캐나다의 연구 자금 부족으로 인해 미국으로 유인되었다는 주장도 있었다.
1990년대에 캐나다가 일부 인재를 미국에 빼앗긴 것은 사실이다.[237] 그러나 해외에서 더 많은 고숙련 근로자를 유치하여 손실을 상쇄했다. 캐나다로 이주한 전문가가 캐나다를 떠난 전문가보다 많아 순 인적 자본 유입이 발생했다.[237] 다만, 이민자들의 자격이 캐나다에서 인정받지 못하는 경우도 있어, 일부 고숙련 전문가들이 저임금 서비스 부문 일자리에 종사하기도 한다.
2000년대 중반, 캐나다의 경제 회복, 강력한 내수 시장, 높은 생활 수준, 임금 상승 등으로 인재 유출 논쟁은 사실상 종식되었다.[238][239] 캐나다의 경제적 성공은 일부 미국 최고 인재들의 이주를 촉진하기도 했다.[238][239][240][241][242] 9/11 테러 이후 미국의 엄격한 보안 조치도 캐나다의 인재 유출 논쟁 완화에 기여했다는 증거도 있다.[243]
6. 5. 남미
1997년 쿠바 당국은 61개국에 3만 1천 명의 쿠바 의사가 파견되었다고 주장했으며[253], 이들 중 다수는 남아메리카에서 활동하고 있었다. 2007년에는 베네수엘라에서 하루 약 100000oilbbl의 석유를 대가로 2만 명의 쿠바 의사가 일하고 있다고 보도되었다.[254]하지만 베네수엘라와 볼리비아(1,700명의 의사가 더 근무하는 곳)에서는 2007년 이전 몇 년 동안 최대 500명의 의사가 인근 국가로 파견 근무를 떠났다고 한다.[253] 이 수치는 급격히 증가하여 2014년 미국에서만 1,289명의 쿠바 의료 전문가에게 비자가 발급되었는데, 대부분의 쿠바 의료 인력은 열악한 사회적 환경과 적절한 급여를 받지 못하기 때문에 베네수엘라에서 탈출했다. 쿠바 정부가 대부분의 급여를 받는다고 주장되는 반면, 일부 의사들은 월급으로 약 100USD만 받는다고 한다.[255]
우고 차베스가 대통령으로 선출되고 볼리바르 혁명이 시작된 이후 수백만 명의 사람들이 베네수엘라를 떠났다.[256][257][258] 2009년에는 우고 차베스가 대통령이 된 이후 100만 명 이상의 베네수엘라인이 이민을 갔다고 추산되었다.[257] 1998년부터 2013년까지 볼리바르 혁명 이후 베네수엘라 전체 인구의 4~6%에 해당하는 150만 명이 넘는 베네수엘라인이 베네수엘라를 떠난 것으로 계산되었다.[258] 학계와 재계 지도자들은 차베스 대통령 집권 후반기, 특히 니콜라스 마두로 대통령 집권 시기에 베네수엘라 이민이 크게 증가했다고 밝혔다.[259]
베네수엘라 중앙대학교의 "해외 베네수엘라 공동체: 새로운 망명 방식"이라는 연구 분석에 따르면, 베네수엘라 난민 위기는 "경제와 사회 구조의 악화, 만연한 범죄, 불확실성, 그리고 가까운 미래에 지도부 변화에 대한 희망 부족"으로 인해 발생했다고 한다.[256] 이 연구에 따르면, 볼리바르 혁명 이후 베네수엘라를 떠난 150만 명 이상의 베네수엘라인 중 90% 이상이 대졸자였으며, 그중 40%는 석사 학위를, 12%는 박사 학위 또는 박사후 과정을 이수했다고 한다.[258][260] 월스트리트 저널은 많은 "베네수엘라 백색직종 근로자들이 높은 범죄율, 급등하는 인플레이션, 그리고 확대되는 국가 사회주의 통제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이 나라를 떠났다"고 보도했다.[261] 연구 대상이 된 전 베네수엘라 시민들이 떠난 이유로는 자유 부족, 높은 불안 수준, 그리고 기회 부족 등이 있었다.[258][260] 일부 베네수엘라 부모들은 자녀들이 해외로 나가도록 독려하기도 했다.[258]
7. 대응 방안
두뇌 유출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는 국가, 사회, 개인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
국가 차원에서는 우수 인력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재정적 지원을 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들이 학업 후 국내에 정착하여 학술적 성과를 올릴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의 경우 KAIST 학생이나 국비 장학생 등이 해외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
사회 차원에서는 고등 교육을 받은 이민자와 유학생이 본국으로 돌아오도록 하는 정책을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국가와 지역에 따라 사정이 다르기 때문에 모든 경우에 적용 가능한 특효약은 존재하지 않는다. 아프리카 국가들은 의사 등의 인적 자원 유출로 인해 의료 제도가 심각한 영향을 받고 있으며, 의료 관계자가 선진국으로 이주하는 것을 규제하려고 노력한다. 반면, 인구가 많은 중국과 인도는 매년 많은 인재가 유출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유학 진흥 등 낙관적인 정책을 펼치고 있다.[1]
개인 차원에서는 국가와 사회에 대한 책임감을 가지고 자신의 역량을 국내에서 발휘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7. 1. 국가 차원
우수 인력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국가가 재정적으로 지원하는 경우가 많다. 대한민국의 경우 KAIST 학생이나 국비 장학생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하지만 이들 중 적지 않은 수가 해외에서 학업 후 그곳에 정착하여 학술적 성과를 올리는 경우가 많으며, 심지어 국적을 바꾸는 경우도 적지 않다. 이는 국가적으로 금전적 손실과 우수 인력 손실을 초래한다.
능력 있는 인재는 국가 발전에 중요하며, 세계적인 과학자와 기술자가 많은 국가는 그렇지 않은 국가보다 더 발전한다. 고등 교육을 받은 이민자와 유학생이 본국으로 돌아오도록 하는 정책을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국가와 지역에 따라 사정이 다르기 때문에 모든 경우에 적용 가능한 특효약은 존재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아프리카 국가들은 의사 등의 인적 자원 유출로 인해 의료 제도가 심각한 영향을 받고 있으며, 의료 관계자가 선진국으로 이주하는 것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규제하려 하고 있다. 인구가 많은 중국과 인도는 매년 많은 인재가 유출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유학 진흥 등 낙관적인 정책을 보이고 있다.
7. 2. 사회 차원
능력 있는 인재는 국가 발전에 중요하며, 세계적인 과학자와 기술자가 많은 국가는 그렇지 않은 국가보다 더 발전한다. 고등 교육을 받은 이민자와 유학생이 본국으로 돌아오도록 하는 정책을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국가와 지역에 따라 사정이 다르기 때문에, 모든 경우에 적용 가능한 특효약은 존재하지 않는다.예를 들어 아프리카 국가들은 의사 등의 인적 자원 유출로 인해 의료 제도가 심각한 영향을 받고 있으며, 의료 관계자가 선진국으로 이주하는 것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규제하려 하고 있다. 인구가 많은 중국과 인도는 매년 많은 인재가 유출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유학 진흥 등 낙관적인 정책을 보이고 있다.[1]
7. 3. 개인 차원
능력 있는 인재는 국가 발전에 중요하며, 세계적인 과학자와 기술자가 많은 국가는 그렇지 않은 국가보다 더 발전한다. 개인 차원에서는 국가와 사회에 대한 책임감을 가지고 자신의 역량을 국내에서 발휘하려는 애국심 고취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끊임없는 자기 계발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국내에서도 충분히 성공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져야 한다.8. 한국의 과제
저출산,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면서, 우수 인재 확보는 한국의 미래를 위한 필수적인 과제가 되었다. 해외 인재 유치뿐만 아니라, 국내 인재들의 해외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노력도 필요하다. 과학기술, IT, 바이오 등 미래 성장 동력 분야의 인재 육성에 집중 투자해야 한다. 정부, 기업, 대학이 협력하여 인재 유치 및 육성을 위한 종합적인 전략을 수립하고 추진해야 한다. 특히, 이공계 인력의 해외 유출을 막기 위해, 연구 환경 개선, 처우 개선 등 실질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오늘날 말하는 두뇌 유출은 전시와는 달리 피난의 개념이 아닌, 개인 혹은 단체의 보다 나은 생활 환경을 찾아 떠나는 것을 의미한다. 대한민국의 경우, 미국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과학기술 인재들이 미국에 계속 남아 활동하는 비율이 높아졌다.[274] 우수 인력이 성장함에 있어서 국가에서 재정적으로 뒷받침하는 경우가 많다. KAIST 학생 혹은 국비 장학생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하지만 이들 중 적지 않은 수가 해외에서 학업 후 그곳에서 정착, 학술적 성과를 올리는 경우가 많으며, 심지어 국적을 바꾸는 수 또한 적지 않다. 이는 국가적으로 금전적 손실과 우수 인력 손실이다.
참조
[1]
웹사이트
Brain Drain and the Politics of Immigration
https://fpif.org/bra[...]
Institute for Policy Studies
2014-02-25
[2]
웹사이트
Australia's Skilled Migration Program: Scarce Skills Not Required
http://tapri.org.au/[...]
Monash University
2016-03-08
[3]
웹사이트
Global migration revisited : short-term pains, long-term gains, and the potential of south-south migration
http://documents.wor[...]
2016-04-11
[4]
웹사이트
The Gain from the Drain - Skill-biased Migration and Global Welfare
http://www.cream-mig[...]
[5]
논문
Migration and globalization: what's in it for developing countries?
https://econpapers.r[...]
2016-09-20
[6]
논문
Do migration networks worsen trade deficit? Evidence from the United States and Germany
https://doi.org/10.1[...]
2020
[7]
논문
No Man Left Behind: Effects of Emigration Prospects on Educational and Labour Outcomes of Non-migrants
2016-04-01
[8]
논문
Brain Drain and Human Capital Form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Winners and Losers
http://sites.uclouva[...]
2008-04-01
[9]
논문
The Long-Run Effects of Labor Migration on Human Capital Formation in Communities of Origin
http://www.nber.org/[...]
[10]
논문
Testing the 'brain gain' hypothesis: Micro evidence from Cape Verde
https://econpapers.r[...]
2012-01-01
[11]
논문
Africa's Exodus: Capital Flight and the Brain Drain as Portfolio Decisions
https://doi.org/10.1[...]
2004-12-01
[12]
논문
HIV Pandemic, Medical Brain Drain, and Economic Development in Sub-Saharan Africa
https://doi.org/10.1[...]
2008-01-01
[13]
논문
Exploring the Impact of Medical Brain Drain on Child Health in 188 Countries over 2000–2015
2020-12
[14]
논문
Zimbabwe's Medical Brain Drain: Impact Assessment on Health Service Delivery and Examination of Policy Responses: A Literature Review
2013-06-01
[15]
논문
Documenting the Brain Drain of "La Crème de la Crème"
https://www.degruyte[...]
2009-12-01
[16]
논문
Does Brain Drain Lead to Institutional Gain?
https://onlinelibrar[...]
2017
[17]
논문
Aid, Remittances, Medical Brain Drain and Child Mortality: Evidence Using Inter and Intra-Country Data
https://doi.org/10.1[...]
2013-06-01
[18]
논문
Does emigration reduce corruption?
[19]
논문
Migrants, Remittances, and Politics: Loyalty and Voice after Exit
https://static1.squa[...]
2012
[20]
논문
The Effect of Labor Migration on the Diffusion of Democracy: Evidence from a Former Soviet Republic
http://www.cepii.fr/[...]
[21]
논문
The effect of emigration on home-country political institutions
https://wol.iza.org/[...]
[22]
논문
International Migration and Home Country Politics
2014
[23]
웹사이트
Emigration and democracy
https://www.econstor[...]
Bar-Ilan University
[24]
논문
Brain drain from developing countries: how can brain drain be converted into wisdom gain?
2005-11
[25]
간행물
The brain drain: Old myths, new realities
http://www.oecdobser[...]
2002-01
[26]
서적
Globalization of Education: an introduction
Routledge
2009
[27]
웹사이트
Brain drain - Definition and More
http://www.merriam-w[...]
Free Merriam-Webster Dictionary
2010
[28]
웹사이트
Brain Drain, Numeracy and Skill Premia during the Era of Mass Migration: Testing the Roy-Borjas Model
http://cream.confere[...]
[29]
웹사이트
CSAE Conference 2015 Plenary 3: Migration and Labour Mobility
http://www.fsmevents[...]
2015
[30]
웹사이트
Why It's Time to Drop the 'Brain Drain' Refrain
http://www.cgdev.org[...]
[31]
논문
Smart policy toward high-skill emigrants
http://wol.iza.org/a[...]
[32]
웹사이트
Migration and Development: Who Bears the Burden of Proof? Justin Sandefur replies to Paul Collier From Poverty to Power
http://oxfamblogs.or[...]
[33]
웹사이트
Myths of Migration: Much of What We Think We Know Is Wrong
http://www.spiegel.d[...]
2017-03-21
[34]
논문
International migration, remittances and development: myths and facts
2005-11-01
[35]
논문
More open borders for those left behind
https://journals.sag[...]
[36]
논문
More open borders and deep structural transformation
https://www.tandfonl[...]
[37]
논문
The brain drain from developing countries
https://wol.iza.org/[...]
2014-05-01
[38]
논문
A Global View of Cross-Border Migration
http://www.fordschoo[...]
2015-02-01
[39]
SSRN
The IT Boom and Other Unintended Consequences of Chasing the American Dream
2017-04-30
[40]
웹사이트
The Gain from the Drain – Skill-biased Migration and Global Welfare
http://www.cream-mig[...]
[41]
논문
The New Economic Case for Migration Restrictions: An Assessment
2016-02-01
[42]
논문
How Important is Selection? Experimental VS. Non-Experimental Measures of the Income Gains from Migration
http://ageconsearch.[...]
2010-06-01
[43]
논문
Migration as Development: Household Survey Evidence on Migrants' Wage Gains
2017-04-18
[44]
논문
The Global Race for Talent: Brain Drain, Knowledge Transfer, and Growth
https://doi.org/10.1[...]
2024-01-01
[45]
간행물
Remittance flows in 2011
http://siteresources[...]
[46]
웹사이트
Global Remittances Guide
http://www.migration[...]
2013-07-31
[47]
논문
The Effects of International Migration on Migrant-Source Households: Evidence from Ethiopian Diversity-Visa Lottery Migrants
2016-08-01
[48]
논문
Do Migrants Improve Their Hometowns? Remittances and Access to Public Services in Mexico, 1995-2000
2011-01-01
[49]
논문
Natural Disasters and Poverty Reduction: Do Remittances Matter?
2017-12-01
[50]
논문
Remittances and the Brain Drain Revisited: The Microdata Show That More Educated Migrants Remit More
https://ideas.repec.[...]
2011-01-01
[51]
논문
Does Emigration Delay Political Change? Evidence from Italy during the Great Recession
2017-01-01
[52]
논문
Who benefits from return migration to developing countries?
https://wol.iza.org/[...]
2015-02-01
[53]
웹사이트
Migration and Post-Conflict Reconstruction: The Effect of Returning Refugees on Export Performance in the Former Yugoslavia
https://www.iza.org/[...]
[54]
논문
Efficiency Gains from the Elimination of Global Restrictions on Labour Mobility: An Analysis using a Multiregional CGE Model
https://ideas.repec.[...]
2003-01-01
[55]
논문
Economics and Emigration: Trillion-Dollar Bills on the Sidewalk?
http://www.aeaweb.or[...]
2011-08-01
[56]
논문
Efficiency and distributional implications of global restrictions on labour mobility: calculations and policy implications
1984-02-01
[57]
웹사이트
Cross-border movement of persons stimulates trade
http://www.voxeu.org[...]
Centre for Economic Policy Research
2015-10-14
[58]
논문
On the pro-trade effects of immigrants
https://dipot.ulb.ac[...]
2014-04-18
[59]
논문
Ethnic Innovation and U.S. Multinational Activity
[60]
논문
Migrants, Ancestors, and Investment
2016-01-01
[61]
논문
Migrant networks and foreign direct investment
2011-01-01
[62]
논문
Ethnic Networks in FDI and the Impact of Institutional Development
2005-11-01
[63]
논문
Migration and Cross-Border Financial Flows
https://halshs.archi[...]
[64]
웹사이트
Migration and Globalization: What's in it for Developing Countries?
https://www.econstor[...]
[65]
논문
Migration and globalization: what's in it for developing countries?
https://econpapers.r[...]
2016-09-20
[66]
논문
Emigration and wages in source countries: a survey of the empirical literature
http://www.elgaronli[...]
2014-12-26
[67]
논문
The Effect of Emigration from Poland on Polish Wages
http://discovery.ucl[...]
2015-04-01
[68]
논문
Emigration and wages: The EU enlargement experiment
http://ageconsearch.[...]
2013-09-01
[69]
논문
Does emigration benefit the stayers? Evidence from EU enlargement
https://econpapers.r[...]
2012-11-10
[70]
웹사이트
The effects of return migration on Egyptian household revenues
https://editorialexp[...]
[71]
논문
Exit, Voice, and Political Change: Evidence from Swedish Mass Migration to the United States
https://www.econstor[...]
2018-11-14
[72]
웹사이트
Skilled Emigration and Skill Creation: A quasi-experiment - Working Paper 152
http://www.cgdev.org[...]
2016-07-03
[73]
SSRN
Knowledge Remittances: Does Emigration Foster Innovation?
https://www.cesifo.o[...]
2018
[74]
간행물
High-Skilled Migration and Global Innovation
https://siepr.stanfo[...]
2016-03
[75]
논문
Medical Worker Migration and Origin-Country Human Capital: Evidence from U.S. Visa Policy
https://doi.org/10.1[...]
2021
[76]
뉴스
Stop blaming the H-1B visa for India's brain drain—it actually achieved the opposite
https://qz.com/99717[...]
2017-06-03
[77]
논문
Brain drain or brain bank? The impact of skilled emigration on poor-country innovation
http://www.nber.org/[...]
2011-01-01
[78]
웹사이트
Human Capital Investment under Exit Options: Evidence from a Natural Quasi-Experiment - Working Paper 152
https://www.cgdev.or[...]
2019-03-12
[79]
기술보고서
Youth Drain, Entrepreneurship and Innovation
http://www.nber.org/[...]
2019
[80]
웹사이트
Migration, Political Institutions, and Social Networks in Mozambique
https://editorialexp[...]
[81]
논문
Do Migrants Improve Governance at Home? Evidence from a Voting Experiment
2011-01-01
[82]
논문
Remittances and Democratization
http://eprints.lse.a[...]
2015-09-01
[83]
논문
International Migration: Driver of Political and Social Change?
https://ideas.repec.[...]
Institute for the Study of Labor (IZA)
2016-01-01
[84]
논문
Emigration and democracy
http://www.cepremap.[...]
2016-05-01
[85]
논문
Clientelism Versus Social Learning: The Electoral Effects of International Migration
2014-06-01
[86]
논문
Skilled migration and the transfer of institutional norms
2013-06-19
[87]
논문
Do return migrants transfer political norms to their origin country? Evidence from Mali
https://basepub.daup[...]
2014-08-01
[88]
논문
Do Migrants Remit Democracy? International Migration, Political Beliefs, and Behavior in Mexico
2010-01-01
[89]
논문
Migrant remittances and the onset of civil war
2014-11-01
[90]
논문
Does Immigration Induce Terrorism?
http://repository.es[...]
2016-02-11
[91]
SSRN
Can I Have Permission to Leave the House? Return Migration and the Transfer of Gender Norms
2015-09-04
[92]
SSRN
Migration-Induced Transfers of Norms. The Case of Female Political Empowerment
2015-06-23
[93]
논문
South–South Migration and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in Social Institutions: A Two-way Relationship
2015-08-01
[94]
논문
Democracy and Foreign Education
2009-03-01
[95]
논문
Who Democratizes? Western-educated Leaders and Regime Transitions
2015-07-31
[96]
논문
The return of the prodigy son: Do return migrants make better leaders?
2016-09-01
[97]
논문
Western Media Exposure and Chinese Immigrants' Political Perceptions
2016-01-02
[98]
논문
Curse or Cure? Migrant Remittances and Corruption
2014-07-01
[99]
논문
Female Migration, Cultural Context, and Son Preference in Rural China
2015-03-04
[100]
서적
The Philosophy of the Commentators, 200–600 AD: Psychology (with Ethics and Religion)
Cornell University Press
2005
[101]
웹사이트
The Expulsion from Spain, 1492 CE
http://www.fordham.e[...]
Jewish History Sourcebook
2011-02-28
[102]
웹사이트
The Kingdoms of Spain 1492
https://www.themapar[...]
2019-08-23
[103]
백과사전
Huguenot
Encyclopædia Britannica
[104]
웹사이트
Franschhoek - Cape Town wine region
http://www.cape-town[...]
Cape-town.info
2011-02-28
[105]
서적
The Future of Post-Human Migration: A Preface to a New Theory of Sameness, Otherness, and Identity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106]
서적
French Immigrants and Pioneers in the Making of America
McFarland
[107]
서적
The Collected Works of Ann Yearsley
Taylor & Francic
[108]
학술지
La vid y el vino en América del Sur: el desplazamiento de los polos vitivinícolas (siglos XVI al XX)
2004-01-01
[109]
서적
El problema de la yerba mate
Compañia Impresora Argentina
[110]
학술지
The Essence of Commodification: Caffeine dependencies in the early modern world
http://www.yerba-mat[...]
2001-01-01
[111]
서적
Stimulating Consumption: Yerba Mate Myths, Markets, and Meanings from Conquest to Present
Society for the Comparative Study of Society and History
[112]
학술지
German Jewish Émigrés and US Invention
http://eprints.lse.a[...]
[113]
웹사이트
Persecution and Escape: Professional Networks and High-Skilled Emigration from Nazi Germany
https://docs.iza.org[...]
IZA – Institute of Labor Economics
[114]
학술지
The Expulsion of Academic Teaching Staff from German Universities, 1933–45
https://journals.sag[...]
[115]
웹사이트
Continental Britons: Jewish refugees from Nazi Europe
http://www.ajr.org.u[...]
2017-07-01
[116]
웹사이트
The 110-year-old Ford Model T and the Hungarians who made it a success | CEAutoClassic
http://ceautoclassic[...]
2018-10-24
[117]
인물
Csaba Horváth (chemical engineer)
[118]
학술지
The Disintegration of the Eastern Bloc
https://www.jstor.or[...]
2011-01-01
[119]
서적
[120]
서적
[121]
서적
[122]
서적
[123]
서적
[124]
서적
[125]
서적
[126]
서적
[127]
서적
Modern Germany: Society, Economy and Politics in the Twentieth Centu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8]
서적
[129]
잡지
How To Plug Europe's Brain Drain
http://www.time.com/[...]
2008-06-01
[130]
뉴스
Europe fears brain drain to UK
http://edition.cnn.c[...]
CNN
2008-06-01
[131]
웹사이트
Eastern European immigration statistics released by the UK
http://www.workpermi[...]
Workpermit.com
2011-02-28
[132]
웹사이트
Eastern European immigration slows down in the UK
http://www.workpermi[...]
Workpermit.com
2011-02-28
[133]
학술지
Science and Innovation Policy in Southeast Europe: Brain Drain as Brain Gain
[134]
뉴스
Europe Tries to Attract Migrants It Prefers
https://www.nytimes.[...]
2008-06-01
[135]
웹사이트
News
https://ec.europa.eu[...]
[136]
뉴스
Europe's Far Right
https://www.theguard[...]
2008-06-01
[137]
웹사이트
Spotlight on Immigration: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s on Immigrants and Their Children
http://repositories.[...]
California Digital Library
2011-02-28
[138]
웹사이트
The scale-up gap: Financial market constraints holding back innovative firms in the European Union
https://www.eib.org/[...]
2024-07-30
[139]
웹사이트
Europe's Venture Capital Scene Is Narrowing The Gap With The US Despite Global Investment Slowdown
https://www.forbes.c[...]
2024-07-30
[140]
웹사이트
Funding A Rival: Whe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Invest in Chinese Tech
https://www.ifri.org[...]
2024-07-30
[141]
웹사이트
U.S. Legal Permanent Residents: 2006
https://www.dhs.gov/[...]
2011-02-28
[142]
웹사이트
Permanent additions to Australia's population
http://www.ausstats.[...]
2011-02-28
[143]
웹사이트
Facts and Figures 2006 - Immigration Overview: Permanent and Temporary Residents
http://www.cic.gc.ca[...]
2007-12-11
[144]
웹사이트
http://www.stats.gov[...]
2011-02
[145]
뉴스
German brain drain at highest level since 1940s
https://www.independ[...]
2007-06-01
[146]
웹사이트
Portugal deixa fugir 195 cérebros
http://jn.sapo.pt/20[...]
2005-10-28
[147]
뉴스
Immigration to the UK: the key facts visualised
https://www.theguard[...]
2010-06-28
[148]
웹사이트
EU citizens explain why they are leaving the UK
https://www.independ[...]
2017-08-24
[149]
뉴스
Doctors go west in Polish brain drain
https://www.theguard[...]
2005-05-15
[150]
웹사이트
Eurostat February 2008 - Euro area unemployment stable at 7.1%
http://epp.eurostat.[...]
[151]
뉴스
Tide turns as Poles end great migration
http://www.timesonli[...]
2008-02-16
[152]
뉴스
UK Poles return home
https://www.telegrap[...]
2009-02-21
[153]
논문
Emigration and Its Economic Impact on Eastern Europe
http://dx.doi.org/10[...]
2016-00-00
[154]
웹사이트
Russlands Braindrain: Ein Land verliert sein Potenzial
https://orf.at/stori[...]
2023-07-09
[155]
웹사이트
She had a dream job. Now, she's part of a massive brain drain hammering Russia
https://www.npr.org/[...]
[156]
웹사이트
The Putin Exodus: The New Russian Brain Drain
https://www.oei.fu-b[...]
2019-03-21
[157]
웹사이트
The Putin Exodus
https://www.atlantic[...]
[158]
뉴스
Why are people leaving Russia, who are they, and where are they going?
https://www.bbc.com/[...]
2023-06-03
[159]
논문
Digital traces of brain drain: Developers during the Russian invasion of Ukraine
https://link.springe[...]
[160]
웹사이트
Brain Drain. Threat to Successful Transition in South East Europe?
http://www.seep.ceu.[...]
2004-05-00
[161]
웹사이트
Stemming brain drain with the Grid in Southeast Europe
http://portal.unesco[...]
2009-02-01
[162]
뉴스
How corruption is driving Eastern Europe's brain drain
https://www.proquest[...]
2016-00-00
[163]
뉴스
Europeans migrate south as continent drifts deeper into crisis
https://www.theguard[...]
2011-12-21
[164]
뉴스
Young Europeans flock to Argentina for job opportunities
https://www.theguard[...]
2011-12-22
[165]
웹사이트
http://www.africarec[...]
[166]
웹사이트
Reverse brain drain: 'African Lion' economies vs West's fast track
http://www.csmonitor[...]
CSMonitor.com
2012-10-21
[167]
웹사이트
Physicians per 1,000 people (most recent) by country
http://www.nationmas[...]
World Development Indicators Database
[168]
웹사이트
Reversing the brain drain
http://www.allbusine[...]
All Business.com
2004-11-01
[169]
논문
Africa's Exodus: Capital Flight and the Brain Drain as Portfolio Decisions
[170]
웹사이트
Health Personnel in Southern Africa: Confronting maldistribution and brain drain
http://www.equinetaf[...]
[171]
서적
Skilled Labour Migration from Developing Countries: Study on South and Southern Africa
http://www.ilo.org/p[...]
[172]
논문
South Africa appeals to Canada to stop recruiting its MDs
http://www.cmaj.ca/c[...]
[173]
논문
The financial cost of doctors emigrating from sub-Saharan Africa: human capital analysis
[174]
웹사이트
Expertise flows back into SA as brain drain is reversed
http://www.bdlive.co[...]
Business Day
2014-01-14
[175]
웹사이트
Brain drain costs Arab world dearly
http://www.thenation[...]
Thenational.ae
2010-04-28
[176]
웹사이트
Middle East brain drain shows signs of reversing | Arab News — Saudi Arabia News, Middle East News, Opinion, Economy and more
http://www.arabnews.[...]
Arabnews.com
2012-07-26
[177]
웹사이트
Promise for science after the Arab Spring
http://www.scidev.ne[...]
SciDev.Net
[178]
뉴스
Brain drain puts new strain on Iraq
http://news.bbc.co.u[...]
2005-07-28
[179]
뉴스
The Iraqi brain drain
https://www.theguard[...]
2006-03-24
[180]
뉴스
Huge cost of Iranian brain drain
http://news.bbc.co.u[...]
2007-01-08
[181]
뉴스
Iran Report: April 12, 2004
https://www.rferl.or[...]
2008-11-11
[182]
웹사이트
Finance and Development
http://www.imf.org/e[...]
[183]
웹사이트
Iran Faced With Growing Brain Drain: Report
http://www.payvand.c[...]
Payvand.com
[184]
뉴스
Huge cost of Iranian brain drain
http://news.bbc.co.u[...]
2007-01-08
[185]
뉴스
BBC فارسی - ايران - وزارت علوم:۲۵۰ هزار متخصص ايرانى در آمريكای شمالی هستند
https://www.bbc.co.u[...]
[186]
뉴스
Israel's brain drain worsening - Israel News, Ynetnews
http://www.ynetnews.[...]
Ynetnews.com
1995-06-20
[187]
뉴스
Educational body: Israeli academia's future bleak - Israel News, Ynetnews
http://www.ynetnews.[...]
Ynetnews.com
1995-06-20
[188]
뉴스
Government launches program to fight brain drain - Israel News, Ynetnews
http://www.ynetnews.[...]
Ynetnews.com
2013-06-04
[189]
뉴스
Plan to fight brain drain approved - Israel News, Ynetnews
http://www.ynetnews.[...]
Ynetnews.com
1995-06-20
[190]
웹사이트
Israeli expats returning home in record numbers | JPost | Israel News
http://www.jpost.com[...]
JPost
2012-10-15
[191]
웹사이트
'Brain drain' from Turkey: Survey evidence of student non-return
http://www.erf.org.e[...]
[192]
웹사이트
IPTN : Icon Hilangnya Otak Negara
https://yonulis.com/[...]
2019-10-05
[193]
웹사이트
'Losing talent': flight of young Indonesians to Singapore alarms Jakarta
https://www.scmp.com[...]
2023-07-30
[194]
웹사이트
Ratusan Alumni LPDP Enggak Balik ke Indonesia, Dianggap Berhutang pada Negara
https://narasi.tv/re[...]
[195]
웹사이트
Malaysian Diaspora Reach One Million in 2010 - World Bank Official
http://www.bernama.c[...]
Bernama
2011-04-28
[196]
웹사이트
Malaysia's Brain
http://www.asiasenti[...]
Asia Sentinel
2010-02-18
[197]
뉴스
Malaysia's brain drain getting worse, says World Bank
http://www.themalays[...]
2011-04-28
[198]
뉴스
Social injustice main cause of country's brain drain
http://www.themalays[...]
2011-04-28
[199]
논문
The Potent Lever of Toil: Nursing Development and Exportation in the Postcolonial Philippines
2010-09
[200]
논문
The Potent Lever of Toil
[201]
논문
The Potent Lever of Toil
[202]
논문
Nurse Migration from a source country perspective: Philippine country case study
[203]
논문
The Potent Lever of Toil
[204]
논문
Divergent development, racialized rights: globalized labour markets and the trade of nurses — The case of the Philippines
2004-06
[205]
논문
Nurses Inc.: Expansion and commercialization of nursing education in the Philippines
[206]
논문
Philippine Nurses and the Brain Drain
[207]
논문
Divergent development, racialized rights
[208]
논문
Philippine Nurses and the Brain Drain
[209]
논문
Philippine Nurses and the Brain Drain
[210]
논문
Philippine Nurses and the Brain Drain
[211]
논문
Nurse Migration from a Source Country Perspective
[212]
논문
Nurses Inc.
[213]
간행물
Global Nurse Migration Today
[214]
논문
Nurses Inc.
[215]
논문
Nurses Inc.
[216]
논문
The Potent Lever of Toil
[217]
뉴스
Obama, Perhaps Slyly, Calls Attention to Vietnam's Brain Drain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6-05-25
[218]
웹사이트
Why Vietnamese Talent and Brains Are Choosing to Emigrate Business
https://www.entityma[...]
2016-11-02
[219]
웹사이트
A brain drain in reverse: Vietnam's economy thrives as top talents return
https://www.aseantod[...]
2019-03-04
[220]
웹사이트
How the Great Indian Brain Drain is taking a toll on the economy
https://www.moneycon[...]
2022-01-05
[221]
뉴스
Who pays the price for Nepal's brain drain?
http://www.thehimala[...]
The Himalayan Times
[222]
웹사이트
https://www.finance.[...]
[223]
뉴스
China's Brain Drain Dilemma: Elite Emigration
http://www.jamestown[...]
The Jamestown Foundation
2010-08-05
[224]
보고서
Emigration Trends and Policies in China
https://www.migratio[...]
Migration Policy Institute
2016-02
[225]
뉴스
China fears brain drain as its overseas students stay put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07-06-02
[226]
뉴스
Quarter of NZ's brightest are gone
http://www.nzherald.[...]
Nzherald.co.nz
2005-03-12
[227]
뉴스
NZ top source of immigrants to Australia
http://www.nzherald.[...]
New Zealand Herald
2007-09-25
[228]
뉴스
National unveils first billboard of election campaign
http://www.3news.co.[...]
3 News NZ
2008-09-01
[229]
뉴스
Brain drain hits new high
http://www.3news.co.[...]
3 News NZ
2012-08-21
[230]
뉴스
Key stands by brain drain promise
http://www.3news.co.[...]
3 News NZ
2011-11-23
[231]
뉴스
National driving Kiwis overseas - Labour
http://www.3news.co.[...]
3 News NZ
2012-12-06
[232]
뉴스
Return to Oz: Is the brain drain back?
https://www.nzherald[...]
2017-10-29
[233]
뉴스
New Zealand's rock star economy takes centre stage as currency climbs
https://www.theguard[...]
2015-04-12
[234]
웹사이트
Brain Drain or Brain Exchange?
http://www.treasury.[...]
New Zealand Treasury Working Paper 01/22
2001-12
[235]
웹사이트
Moving Here, Staying Here: The Canadian Immigrant Experience
http://www.collectio[...]
Annual Report of the Minister of the Province of Canada for the Year 1865
[236]
웹사이트
Tax Surprise: Most Canadians pay less tax than Americans
http://www.canadians[...]
Canadiansocialresearch.net
1999-11-06
[237]
웹사이트
Canada's 'Brain Drain' a trickle not a flood: New StatsCan report on immigration/emigration shows we gain as much brain as we drain
http://www.straightg[...]
Straightgoods.com
2000-06-07
[238]
잡지
Special Canada Day Report: How Canada stole the American Dream
http://www.macleans.[...]
2008-06-25
[239]
보고서
The Calgary-Edmonton Corridor "US-style wealth, Canadian-style quality of life"
http://www.td.com/ec[...]
TD Economics Special Report
2003-04
[240]
웹사이트
Home | The National Post Home Page | National Post
https://nationalpost[...]
[241]
뉴스
Brain Drain? That's so nineties
https://www.thestar.[...]
The Star
2008-01-12
[242]
뉴스
Canada’s $200-million lure pulls in 19 big-name researchers
https://www.theglobe[...]
The Globe And Mail
2010-05
[243]
서적
The Promise and Peril of International Trade
[244]
보도자료
Latin America Shouldn't Bet Everything On Remittances
http://web.worldbank[...]
World Bank
2006-10-31
[245]
뉴스
Study finds small developing lands hit hardest by 'brain drain'
https://web.archive.[...]
The New York Times
2005-10-25
[246]
뉴스
Brain drain or export earnings?
https://www.bbc.co.u[...]
2007-07-23
[247]
보고서
Migration of the Young, Single, and College Educated: 1995 to 2000
https://www.census.g[...]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03-11-01
[248]
학술지
Appalachia Has Got Talent, But Why Does It Flow Away?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Brain Drain From Rural USA
2019-05-07
[249]
웹사이트
Development and Progress of the Appalachian Higher Education Network
https://www.arc.gov/[...]
Appalachian Regional Commission
[250]
뉴스
Why Israel's brain stopped draining - Remembrance and Independence 2013 Israel News
http://www.haaretz.c[...]
2013-04-15
[251]
웹사이트
World migration report 2008. Managing labor mobility in the evolving global economy
http://www.iadb.org/[...]
[252]
뉴스
America's immigrant student brain drain problem - Jan. 31, 2013
https://money.cnn.co[...]
Money.cnn.com
2013-01-31
[253]
뉴스
Cuban Doctors Awaiting US Response
https://www.washingt[...]
2007-02-02
[254]
뉴스
Cuban doctors defect from Venezuela posts
http://www.sfgate.co[...]
2007-02-25
[255]
뉴스
Cuban Doctors Flee Venezuela With The Help Of U.S. Parole Program
http://www.ibtimes.c[...]
2014-11-17
[256]
뉴스
Best and brightest for export
http://www.elunivers[...]
2014-09-13
[257]
뉴스
Hugo Chavez is Scaring Away Talent
http://www.newsweek.[...]
2009-06-30
[258]
뉴스
Venezuela agobiada por la fuga masiva de cerebros
http://www.elnuevohe[...]
2014-08-28
[259]
뉴스
Economic crisis, political strife drive Venezuela brain-drain
https://www.reuters.[...]
2014-10-15
[260]
뉴스
El 90% de los venezolanos que se van tienen formación universitaria
http://elimpulso.com[...]
2014-08-23
[261]
뉴스
Venezuelan Diaspora Booms Under Chávez
https://www.wsj.com/[...]
2011-10-17
[263]
웹사이트
日本の半導体はなぜ沈んでしまったのか?|ニューズウィーク日本版 オフィシャルサイト
https://www.newsweek[...]
[264]
간행물
日本の頭脳流出
http://www.jil.go.jp[...]
2008-01-01
[265]
뉴스
国際的人材育成へ初会合=政府
http://www.jiji.com/[...]
時事通信
2011-05-26
[266]
웹사이트
アホな科学政策による必然。日本から「頭脳流出」が今後も続く訳 - まぐまぐニュース!
https://www.mag2.com[...]
[267]
웹사이트
中国に流出する日本の頭脳、研究環境求め 人材・資金難で大学は疲弊|社会|地域のニュース|京都新聞
https://www.kyoto-np[...]
[268]
웹사이트
「日の丸半導体」が凋落したこれだけの根本原因 富士通・元半導体部門トップが直言(前編) | IT・電機・半導体・部品 | 東洋経済オンライン
https://toyokeizai.n[...]
[269]
학술지
知られざる日本の"異脳"たち 世界の目を環境に向けた地球温暖化予測の先駆者(3)地球フロンティア研究システム地球温暖化予測研究領域長 真鍋淑郎
ダイヤモンド社
2001-10-06
[270]
웹사이트
【アーカイブ】温暖化研究、第一人者失う 真鍋博士が米に「帰国」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71]
뉴스
真鍋淑郎さん 再び「頭脳流出」する温暖化研究の第一人者(ひと)
2001-11-20
[274]
뉴스
한국인 이공계 인재의 두뇌 유출 현상 심화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06-12-18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한국 인재 유출, 걷잡을 수가 없다”…작년 5800명 미국행, 7년만에 최대
최태원의 AI 발전 구상은…"고급 인력 수입·전기 요금 개편해야"
미국에 눌러앉은 과학인재 14만명 대덕특구 3개 채울 인재 사라졌다
“100년에 한번 오는 기회”…트럼프에 밀려난 연구자들에 전 세계 손짓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